티스토리 뷰
HDD연결
서버의 용량이 부족하여 500GB HDD 2개를 추가로 달았다. 물리적으로 HDD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HDD파티션 생성
fdisk명령으로 파티션을 생성하였다. fdisk 명령뒤에 disk label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fdisk CLI가 뜬다.
m을 입력하면 제공하는 command list를 확인 할 수 있다.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n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파티션 타입, 파티션넘버, 시작 섹터의 위치, 그리고 마지막 섹터의 위치를 입력하면 된다. HDD를 하나의 파틴션으로 사용하려면 모두 default값으로 입력하면된다.(or 그냥 Enter)
이제 w명령어를 입력하여 생성항 파티션 테이블을 write하고 fdisk를 종료하면 된다.
파티션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시하면 fdisk -l를 입력한다.
아까와 다르게 sdc1파티션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포맷
생성된 파티션을 포맷한다. 원하는 파일 시스템에 따라서 mkfs.ext3 또는 mkfs.ext4를 사용하면 된다.
Mount하기
이제 마운트하여 사용하면 된다. 먼저 마운트할 폴더를 생성한다. UUID를 이용하여 마운트시키기 위하여 아래의 명령으로 생성한 파티션의 UUID를 확인한다.
이제 위에서 확인한 UUID를 /etc/fstab파일에 입력하면, 부팅시 자동으로 파티션을 마운트 시킬 것이다.
mount -a를 입력하면 동작중에도 fstab의 내용에 맞춰 mount시킬 수 있다. mount -a를 입력한 뒤 df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마운트되었는지 확인하면 된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t’s Encrypt로 SSL 사이트로 변경 (0) | 2018.12.06 |
---|---|
du - disk 사용량 확인 (0) | 2018.02.26 |
shell prompt 변경하기 (0) | 2018.02.25 |
자주 사용하는 archiving, compressing 명령어 (0) | 2018.02.19 |
Cherrymusic compact view (2) | 2014.08.29 |
arp와 mac정보를 이용한 접속장비 확인 (0) | 2014.07.22 |
ssh가 동작하지 않을때 (0) | 2014.06.12 |
apache webser path (0) | 2014.05.16 |
- Total
- Today
- Yesterda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BS
- imageGrab
- 러닝화
- MOUNT
- 입이 트이는 영어
- 귀가 트이는 영어
- PIL
- Python
- 영자신문
- kodi
- 해석
- CNN
- Linux
- HTPC
- ffmpeg
- 귀트영
- 입트영
- cnn student news
- 영어공부
- Raspberry 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