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w To Change Docker Data Folder Configuration https://medium.com/@ibrahimgunduz34/how-to-change-docker-data-folder-configuration-33d372669056 docker의 data가 /에 쌓이게되면 용량문제가 있다. 용량이 풍부한 HDD(/home/)으로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아래 파일 수정. /usr/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AS-IS [Service] Type=notify # the default is not to use systemd for cgroups because the delegate issues still # exists and systemd curre..
HTTPSuthline.net에 SSL를 도입하였습니다. 또 www.uthline.net이나 uthline.net으로 접속을 하여도 HTTPS로 접속하도록 작업했습니다. 너무 간단해서 하나도 기억에 안남아... 간단하게 정리해보려 합니다.Let’s Encrypthttp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SL인증서가 필요한데, SSL인증서 발급을 하려면 돈이 든다고 알고 있었다. 에서 무료로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고, 그 과정도 너무 너무 간단하게 shell scrpt로 작성되어 있어, 왠만한 사이트 가입하는 것 보다 간단하게 발급을 받을 수 있다.https://letsencrypt.org/# $ wget https://dl.eff.org/certbot-auto --2018-12-06 22:12:32-- https..
du폴더,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을 알아내는 명령어로, 내가 자주 사용하는 옵션은 아래와 같다. DESCRIPTION Summarize disk usage of each FILE, recursively for directories. Mandatory arguments to long options are mandatory for short options too. [OPTION] -h, --human-readable print sizes in human readable format (e.g., 1K 234M 2G) -d, --max-depth=N print the total for a directory (or file, with --all) only if it is N or fewer levels below ..
shell prompt 변경하기 terminal을 실행시켰을 때, 기본적으로 보여지는 shell prompt는 username와 hostname정도를 보여준다. 작업을 하다보니, shell prompt에 현재 경로와 시간을 표시해주니 편리하여 방법을 적봅니다. shell prompt를 변경하는 방법은 PS1 환경변수를 이용하면 된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shell prompt를 바로 변경할 수 있다. [10:38:46]~>export PS1="\d \h $ " 일 2월 25 $ 일 2월 25 $ export PS1="[\d \t \u@\h:\w ] $ " [일 2월 25 10:41:02 @:~ ] $ [일 2월 25 10:41:03 @:~ ] $ 위 방법은 환경 변수를 바로 변경하여 shell prom..
tar압축 하기tar -czvf filename.tar * 압축 풀기tar -xzvf filename.tar 지정 폴더에 압축풀기tar -xvf filename.tar -C foldername 압축 내용보기 tar -tvf filename.tar 옵션 -c, --create create a new archive -x, --extract, --get extract files from an archive -z, --gzip, --gunzip --ungzip -v, --verbose verbosely list files processed -f, --file ARCHIVE use archive file or device ARCHIVE -C, --directory DIR change to directory DIR..
HDD연결 서버의 용량이 부족하여 500GB HDD 2개를 추가로 달았다. 물리적으로 HDD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sudo fdisk -l Disk /dev/sda: 500.1 GB, 500107862016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60801 cylinders, total 976773168 sectors Units =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e9ab2 Device Boot Sta..
cherrymusic의 compact뷰.디폴트는 폴더내에 100개의 음악파일이 존재하면 compact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변경해줄 수 있다. cherrymusicserver/configuration.py:130: maxshowfiles.value = 100이걸 변경이 방법이 안 통해서. cherrymusicserver/cherrymodel.py의maximum_shown_files = cherry.config['browser.maxshowfiles']를 직접 수정.maximum_shown_files = 200;
ARP를이용하여 접속한 장비 확인 linux명령(windows에서도 사용가능)으로 장비에 붙어 있는 장비들의 IP와 MAC주소가 확인 가능하다. 아래와 같이 나온다.$ arp Address HWtype HWaddress Flags Mask Iface 222.238.108.205 ether 00:08:9f:--:--:-- C eth1 192.168.0.3 ether 04:15:52:--:--:-- C eth0 222.238.108.1 ether 00:08:9f:--:--:-- C eth1 192.168.0.1 ether 00:08:9f:--:--:-- C eth0 192.168.0.7 ether 00:50:8d:--:--:-- C eth0 192.168.0.6 (incomplete) eth0 192.168..
기본으로 /var/www
원격 데스크탑 연결 윈도우의 기본 프로그램중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 중 하나다. 다른 컴퓨터를 원격으로 접속해서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데, linux로도 접속이가능하다. 물론 linux에서 간단한 작업을 해두어야 한다. XRDP설치 원격으로 접속하고자 하는 linux에 xrdp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설치 방법은 아래와 같다. 페도라의 경우 설치후 설정을 좀 더 해줘야 동작을 했다.Ubuntu$ sudo apt-get install xrdp Fedora $ sudo yum install xrdp $ systemctl enable xrdp.service $ systemctl start xrdp.service 접속 이제 윈도우 컴퓨터에 원격접속하듯이 접속을 하면 된다. 아래와 같은 로그인 화면이 나..
ftp선택 간단하게 구글링으로 ubuntu에서 많이 쓰이는 ftp를 찾아봤다. vsftp(very secure ftp). 설치하자. vsftp설치 apt-get으로 간단하게 설치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설치하는 버젼에는 권한 설정에 버그가있어서 chroot관련 설정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 ftp로 접속하면 user의 home이 보이고 그 home에는 share폴더가 mount되어 자유롭게 share폴더에 접근이 가능하게 하고 싶다. 또한, 임의의 사용자가 상위의 폴더의 내용을 볼 수 없도록 하고 싶어 'http://webdir.tistory.com/198'를 참고 하였다. 아래는 64비트의 설치 방법이다. 32비트는 링크에서 찾아 보시길... $ wget http://us.archive.ubun..
폴더공유공유폴더를 만들어서 각 사용자의 home에서 접근 할 수 있도록 하고 싶었다. sinsu가 그렇게 쓰는데 한번 따라해 봤다. /home/share폴더를 만들고 이놈을 각 사용자의 /home//share로 연결시켜주는 방식이다. mount간단하게 mount명령어로 mount시켜주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이때 주의 사항. /home//share폴더가 존재해야 한다. $ mount --bind /home/share /home//share 다음의 방법은 /etc/fstab을 이용하는 것이다. fstab파일에 아래의 내용을 추가해주면 된다. 역시 이때의 주의사항도 /home//share폴더가 존재해야 한다. /home/share /home//share none rw,bind 0 0 /home/share /..
H2 리눅스 설치서버조립을 마쳤으니 이제 우분투를 깔아보자. 준비물은 UUI와 우분투 iso.UUI는 아래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고 사용법도 쉽게 설명되어 있다. http://www.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 우분투 iso파일은 아래 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다. 12.04 LTS 64bit 버전을 다운받았다. http://www.ubuntu.com/download/desktop UUI를 이용하여 iso파일을 usb에 복사후 설치를 시도하였는데, 두번의 시련을 겪었다. 그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H2 casper vmlinuz file not found H2 두번의 애러 메세지 casper/vmlinuz가 없다!=> UUI..
주문했던 부품들이 모두 도착하였다. 짜잔!! 램, 메인보드, 케이스. 이제 조립을 해볼까나? 메인보드 설명서의 그림만 보고 조립하여도 무난하게 완성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다. 그도 그럴 것이 메인보드에 CPU가 장착되어 있어 별로 해줄일이 없다. 몇가지 헷갈리는 부분들도 있지만...우선 먼저 메인보드에램부터 꽂아 보자! 매뉴얼을 참고하여 첫번째 slot에 램을 꽂았다.다음으로 메인보드를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작업! 여기 주의 사항이 하나 있다.뒷쪽 철판을 깜빡하지 마시길... 깜빡하고 조립했다가 다시 다 분해해서 다시 꽂아 주었다는 OTL.케이스의 선들을 메인보드에 연결하는 것은 케이블과 메인보드의 포트의 생김시만 보고 대충 꽂아도 왠만큼은 다 맞는다. 매뉴얼을 보고 순서대로 꽂으면 간단하게 완성할 수 있다..
이것 저것 알아야할것도 많고 공부해야 할 것도 많지만, 일단 지르고보자. 차근차근 운영하다보면 하나씩 알아가는게 있지 않을까? 싶어서 일단 서버를 구매했다.배우는 단계이고, 그럭저럭 돌아가는 서버가 있으면 될 듯하여 저렴한 놈으로 구입하였다.메인보드(CPU) - GIGABYTE GA-C1037UN-EUhttp://prod.danawa.com/info/?pcode=2356075&cate1=861&cate2=875&cate3=968&cate4=0 서버선택의 가장 큰 기준은 사이즈였다. 마음같아서 맥미니를 들여놓고 싶었지만, 가격이 ㅎㄷㄷ하여 차선책으로 mini-iTX의 메인보드를 선택하였다. 가격도 큰 부담되지 않는 10만원대. 10만원이 부담이 안된다고!? CPU, 사운드카드, 그래픽칩셋을 내장하고 있으니..
- Total
- Today
- Yesterda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OUNT
- 입이 트이는 영어
- kodi
- 러닝화
- HTPC
- 해석
- imageGrab
- 영어공부
- ffmpeg
- PIL
- cnn student news
- 귀트영
- Linux
- Python
- 영자신문
- Raspberry Pi
- 입트영
- EBS
- 귀가 트이는 영어
- CNN